한부모가족 아동 양육비 지원 월 최대 33만원 받으세요
한부모가족 아동 양육비 지원 월 최대 33만원까지 받고 경제적 부담 줄여보세요!
혼자서 아이를 키우는 것은 경제적으로도 정서적으로도 쉽지 않은 일인데요.
정부에서는 이러한 한부모가족의 어려움을 덜어주고자 만 18세 미만 자녀를 양육하는 저소득 한부모가족에게 매월 양육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본 양육비 월 23만원부터 청년 한부모 추가 지원까지 포함하면 최대 33만원까지 받을 수 있으며, 조손가족도 동일하게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한부모가족 아동 양육비 지원의 자격 요건부터 신청 방법, 지원 금액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지금 꼭 신청해야할 지원금 ▼
한부모가족 아동 양육비 지원

한부모가족 아동 양육비 지원은 만 18세 미만(고등학교 재학 중인 경우 22세 미만) 자녀를 양육하는 저소득 한부모가족을 대상으로 매월 양육비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모 또는 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가구뿐만 아니라 조손가족(조부모가 손자녀를 양육하는 경우)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신청을 바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지원내용
기본 아동 양육비로 18세 미만 자녀 1인당 월 23만 원이 지급되며, 고등학교 재학 중인 경우 22세 미만까지 지원됩니다.
추가 아동 양육비로 조손가족 및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의 5세 이하 자녀는 월 5만 원이 추가 지급됩니다.
25~34세 청년 한부모의 경우 5세 이하 자녀는 월 10만 원, 6~18세 미만 자녀는 월 5만 원의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학용품비, 복지시설 입소 가구의 생활보조금은 얼마인지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 확인해 보세요.
금액
아동 양육비는 18세 미만 자녀 1인당 매월 23만 원이 지급되며, 고등학교 재학 중인 경우 22세 미만까지 연장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추가 아동 양육비는 조손가족 및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의 5세 이하 자녀는 월 5만 원, 25~34세 청년 한부모는 5세 이하 월 10만 원, 6~18세 미만 월 5만 원입니다.
학용품비는 초·중·고등학생 자녀 1인당 연간 9만 3천 원이 지급되어 학업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합니다.
한부모가족 복지시설에 입소한 경우 생활보조금도 추가되는데 얼마인지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득
2025년 기준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인 한부모가족이 지원 대상이 됩니다.
예를 들어 2024년 3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4,714,657원의 63%는 약 297만 원 정도이며, 2025년 기준은 매년 변동되므로 주민센터에서 정확한 기준을 확인해야 합니다.
소득인정액은 실제 소득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으로 계산되며,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생계급여를 받고 있는 한부모가족도 동일하게 아동 양육비 지원을 받을 수 있으므로 별도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소득 기준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산
재산 기준은 소득인정액 산정 시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하여 적용되며, 실제 거주하는 주택과 토지는 재산 산정에서 제외됩니다.
산정 대상 재산에는 주거용 재산(임차보증금 등), 일반재산(토지, 건물, 상가 등), 금융재산(예금, 적금, 주식 등), 자동차(1,000만 원 이상)가 포함됩니다.
재산에서 기본재산액과 부채를 차감한 후 소득환산율 4.17%를 곱해 월 소득으로 환산하여 소득인정액에 포함시킵니다.
실거주용이 아닌 주택(임대용, 별장 등)은 재산에 포함되므로 소득환산 시 고려됩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재산 기준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한부모가족 아동 양육비 지원 신청은 주민등록상 주소지의 읍·면·동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하거나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방문 신청 시 사회복지서비스 및 급여 제공(변경) 신청서, 소득재산 신고서, 금융정보 등 제공동의서를 준비해야 하며, 해당자의 경우 임대차계약서, 제적등본 등의 추가 서류가 필요합니다.
신청 후 소득재산조사를 거쳐 보장 결정통지를 받게 되며, 승인 시 매월 25일경 지정된 계좌로 양육비가 입금됩니다.
신청기간은 연중 상시 접수되지만 구체적인 날짜는 해당 읍·면·동 주민센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신청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필요한 서류는 스캔하여 첨부하거나 추후 주민센터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가까운 주민센터에서 신청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