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 소득 | 국민임대주택 | 행복주택 자격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 기준표로 2025년 주택청약 자격 한 번에 확인하세요!
주택청약이나 임대주택 신청을 준비하고 있지만 복잡한 소득 기준 때문에 헷갈리고 있는 분들이 많은 요즘, 정부에서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데요.
바로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을 기준으로 한 각종 주택 정책의 자격 요건입니다.
2025년 4인 가구 기준 100%는전년 대비 상승했으며, 국민임대주택부터 행복주택, 공공분양까지 각각 다른 비율이 적용됩니다.
50%부터 200%까지 비율별로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내 소득 수준에 맞는 주택 정책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부터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 기준표부터 홈택스 조회방법, 그리고 주택 유형별 소득 기준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지금 꼭 신청해야할 지원금 ▼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 소득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은 도시 지역 근로자 가구의 평균 소득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주택청약, 임대주택 입주 등 각종 주택 정책의 기준으로 활용되며 매년 갱신됩니다.
2025년 4인 가구 기준 100%는 8,578,088원으로 전년 대비 상승했는데요.
아래 링크를 누르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임대주택
국민임대주택은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70% 이하 가구에게 공급되는 임대주택입니다.
전용 50㎡ 미만은 70% 이하, 60㎡ 초과는 100% 이하가 기준이 됩니다.
우선공급은 50% 이하 가구와 무주택자에게 주어지며, 1인 가구는 별도 기준이 적용되죠.
장점은 최장 30년간 거주가 가능하고 시세보다 60~80% 수준으로 저렴하게 거주할 수 있습니다.
신청은 LH청약 홈페이지나 마이홈포털에서 모집공고를 확인후 신청 가능합니다.
때에 따라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접수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대상, 선정방법을 확인하여 기회가 될때 신청해 보세요.
행복주택
행복주택은 젊은층의 주거 안정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입니다.
대학생과 고령자는 100%, 사회초년생과 신혼부부는 120% 이하가 소득 기준인데요.
3인 가구 기준 100%는 762만원, 120%는 915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행복주택 역시 시세보다 많이 저렴한 가격으로 지낼 수 있는 곳이며 보통 도시 중심부나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위치해 있습니다.
청년, 신혼부부, 자녀있는 신혼부부에 따라 거주기간도 다른데요.
아래 링크를 누르면 행복주택 관련 정보와 후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공분양
공공분양 특별공급은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130% 이하가 기준입니다.
다자녀는 120%, 신혼부부와 생애최초는 130% 이하여야 하며, 맞벌이는 기준이 완화됩니다.
일반공급 추첨의 경우 200% 이하까지 신청이 가능한데요.
아래 링크를 누르면 공공분양 소득기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 평균보수월액
국민건강보험 평균보수월액은 2025년 기준 약 326만원 수준입니다.
이는 전국 직장가입자의 평균 보수를 나타내며, 보험료는 이의 약 8%가 부과되죠. 표준보수월액표에 따라 등급별로 구분되어 적용되는데요.
아래 링크를 누르면 보수월액 조회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0%, 70%, 100%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의 비율별 기준은 주택 정책마다 다르게 적용됩니다.
50%는 국민임대 우선공급, 70%는 일반공급, 100%는 행복주택 기준이 되죠.
4인 가구 기준 50%는 429만원, 100%는 858만원, 150%는 1,287만원인데요.
아래 링크를 누르면 비율별 상세 기준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월평균소득 조회
홈택스에서 월평균소득을 조회하려면 소득금액증명원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홈택스 접속 후 검색창에서 소득금액증명을 검색하고, 로그인한 후 인적사항과 신청내용 중 소득발생처 상호 사업자 번호 공개여부 등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수령방법에 인터넷열람(화면조회)를 누르고 신청하기를 누르면, 맨 오른쪽에 [열람]을 누르면 조회할 수 있는데요.
그곳에서 나오는 대로 연간 소득을 12개월로 나누면 월평균소득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홈택스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