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일자리 지원 사업 신청하고 직장을 얻어 월급받자

18세 이상 미취업 등록장애인을 위한 장애인 일자리 지원사업은 일반형, 복지형, 특화형 등 다양한 유형으로 제공되어 개인의 특성과 능력에 맞는 일자리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특히 일반형 일자리는 월 200만원 이상, 복지일자리는 월 55만원 이상의 급여를 지급하여 경제적 자립을 돕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장애인 일자리 지원사업의 지원대상, 일자리 유형별 특징과 급여, 신청방법 및 필요 서류까지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애인 일자리 지원

장애인 일자리 지원
장애인 일자리 지원

장애인 일자리 지원사업은 18세 이상 미취업한 자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여 경제적 자립을 돕고 사회참여의 기회를 확대하는 제도입니다.

이 사업은 장애인의 특성과 수요에 맞춘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를 제공하며, 일반형, 복지형, 특화형 등 여러 유형으로 구분되어 운영됩니다.

장애인들의 직업 능력 향상과 더불어 지역사회 통합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아래 링크를 눌러 관할구 주민센터에서 문의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대상

장애인 일자리 지원사업의 대상은 18세 이상 미취업 상태인 등록장애인입니다.

장애 유형과 등급에 관계없이 취업을 희망하는 모든 등록장애인이 지원 가능하나, 일부 특화형 일자리의 경우 특정 자격증이나 조건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각 지자체별로 우선순위 선발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거주지 관할 지자체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지원내용

장애인 일자리는 유형별로 근무시간과 급여가 다르게 책정됩니다.

일반형 일자리는 전일제와 시간제로 나뉘며, 전일제는 주 40시간 근무에 월 2,060,740원, 시간제는 주 20시간 근무에 월 1,030,370원이 지급됩니다.

복지일자리는 월 56시간 근무에 월 552,160원이 지급됩니다.

특화형 일자리는 몇 시간 근무이며, 얼마 받는지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 지원내용을 확인해보세요.

채용

채용에 대한 모집건은 지자체를 통해 확인할수 있으며, 아래 한국 장애인 고용공단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취업정보와 온라인 구직을 통해 사회적 기회를 창출해 보세요.

유형

아래는 각 주요 업무와 어디서 일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 했습니다.

일반형

  • 주요업무: 장애인 복지 등 행정보조 업무
  • 근무장소: 시·군·구청 및 읍·면·동 주민센터, 비영리복지시설(기관) 등

복지

  • 주요업무: 사서보조, 우편물분류요원, 룸메이드, 주차단속보조원, 급식도우미 등
  • 근무장소: 도서관, 우체국, 숙박시설, 학교, 복지관 등

시각장애인 안마사

  • 주요업무: 안마서비스 제공
  • 근무장소: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 노인복지 시설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

  • 주요업무: 요양보호사 업무 보조
  • 근무장소: 노인복지시설 및 노인전문병원 등

아래 링크를 누르면 좀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근무시간

근무시간은 일자리에 따라 달라집니다.

행정도우미, 전담지원, 복지서비스는 주 40시간, 시간제는 주 20시간이며 참여형의 경우 주 56시간입니다.

안마사로 진행할 경우 근마하는 시간이 다릅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일자리 종류별 근무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장애인 일자리 신청은 거주지 관할 지자체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신청 기간은 지자체마다 다르므로, 먼저 해당 지자체에 문의한 후 방문 신청을 진행해야 합니다.

지자체 담당부서(주로 장애인복지과 또는 사회복지과)에 방문하여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고 상담을 통해 적합한 일자리 유형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가까운 주민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청시 서류

장애인 일자리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장애인 일자리 사업 참여 신청서
  • 개인 정보 수집·이용 및 제3자 제공 안내 및 동의서
  • 장애인 등록증 사본(앞뒷면)
  • 건강보험 자격 득실 확인서

전체적으로 내야할 서류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