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냉·난방비 지원기관 안내, 지역별 전화번호
전국 냉·난방비 지원기관 안내, 지역별 전화번호 안내드립니다!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저소득층과 사회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저소득층 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과 ‘EERS 취약계층 지원 사업’ 등 다양한 에너지 복지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데요.
2025년에는 기초생활수급자를 포함한 저소득층 대상으로 냉·난방 지원이 확대될 예정입니다.
지금부터 전국 냉·난방비 지원제도의 지원 대상부터 신청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지금 꼭 신청해야할 지원금 ▼
전국 냉·난방비 지원기관 안내

저소득층과 사회복지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냉난방비 지원 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크게 ‘저소득층 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과 ‘EERS 취약계층 지원 사업’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의 지원 내용과 대상이 다르니 꼼꼼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전국 냉·난방비 지원기관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 에너지 효율 개선
2025년에는 기초생활수급자를 포함한 저소득층 5만 4,000가구를 대상으로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구체적으로는 난방 지원이 3만 6,000가구, 냉방 지원이 1만 8,000가구에 해당됩니다.
지원 내용
에너지 사용 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고효율 단열 시공이 진행되며, 창호와 바닥 공사도 함께 이루어집니다.
또한 고효율 보일러 교체와 고효율 냉난방기 설치 지원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신청기간은 매년 4월 부터 예산 소진시까지 진행되며,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문의해 보세요.
EERS 취약계층 지원
EERS는 에너지공급자인 한전이 효율향상 사업을 통해 정부가 부여한 판매전력량의 일정 비율만큼 의무적으로 절감해야 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취약계층의 에너지 비용 절감을 도와드립니다.
신청 및 문의는 한국가스공사에서 진행할 수 있으며, 아래 링크를 누르면 지역별 담당 지역 한국가스공사에 문의할 수 있습니다.
지원대상
사회복지시설의 경우 직접 신청이 가능하며, 저소득가구는 사회복지시설 등을 통한 추천 접수로 진행됩니다.
특히 2025년에는 기초생활수급자를 중심으로 지원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지원 내용
- 가스보일러 교체
- 단열 강화
- 창호 교체
- 도배 및 장판 교체
- 기타 열효율 개선 공사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 바우처
모든 국민이 계절에 관계없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지 제도입니다.
특히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해 다양한 에너지원을 구매할 수 있는 이용권을 지원합니다.
이 제도를 통해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은 물론 등유, LPG, 연탄까지 필요한 에너지원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신청 방법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냉방비 지원
각 지역에서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냉방비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강원도 속초시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당 10만 원의 냉방비를 지급, 경기도 고양시는 이미 300가구에 가구당 10만 원을 지급했습니다.
광주 북구의 경우 중위소득 100% 이내 저소득 취약계층 대상으로 지원하며, 이 중 500세대는 냉방비 10만 원을, 나머지 1,155세대는 선풍기와 양우산, 보냉병 등 냉방용품을 제공했습니다.
지원 대상
정부는 매년 취약계층 130만 가구를 대상으로 에너지 바우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은 기초생활수급자 중 65세 이상 노인, 7세 이하 영유아, 장애인, 임산부, 중증질환자, 한부모 가족 등입니다.
지원 금액은 세대 구성원 수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4인이상 세대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및 신청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소득
지역에서 지원해주는 사업의 경우, 지원금을 받았다면 소득으로 인정될 수 있을까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사례와 답변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