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활동지원 | 센터 | 기관 | 신청 | 급여 알아보기

혼자서 일상이나 사회생활을 하기 어려운 장애인분들과 그 가족들의 부담이 점점 커지고 있는 요즘, 정부에서는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적극 지원하는 특별한 제도를 마련했는데요.

바로 소득수준이나 장애유형에 관계없이 신청할 수 있는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입니다.

등록장애인 점수에 따라 월 100만원부터 최대 798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데요.

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도움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장애인활동지원의 신청방법부터 서비스 종류, 그리고 활동지원사 자격 취득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애인활동지원

장애인활동지원
장애인활동지원

장애인활동지원은 혼자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을 하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활동지원급여를 제공하여 자립생활을 지원하고 가족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등록장애인 중 서비스지원 종합조사 결과 42점 이상인 분들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소득수준이나 장애유형에 관계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신체활동, 가사활동, 사회활동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신청을 바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장애인활동지원센터

장애인활동지원센터는 전국 시·군·구 지역별로 설치되어 서비스 이용에 관한 상담과 안내를 제공하는 기관입니다.

활동지원사 파견, 서비스 이용계획 수립, 이용자와 활동지원사 간 매칭 등의 업무를 담당합니다.

서비스 이용 중 발생하는 각종 문제 해결과 고충 상담, 서비스 품질 관리 등도 센터에서 지원합니다.

거주지 관할 장애인활동지원센터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나 지역 구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가까운 활동지원센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

신청

신청은 주민등록상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국민연금공단 전국 지사에서 접수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복지로 누리집을 통한 온라인 신청과 우편, 팩스를 이용한 신청도 가능합니다.

장애인 본인이나 대리인이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 후 서비스지원 종합조사와 수급자격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급여가 결정됩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온라인으로 신청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대상

만 6세 이상 65세 미만의 장애인복지법상 등록장애인으로 서비스지원 종합조사 결과 종합점수 42점 이상인 분이 대상입니다.

소득수준이나 장애유형에 관계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장애 정도나 생활환경에 따라 지원 범위가 결정됩니다.

65세 이후 노인장기요양등급 외 판정을 받은 기존 수급자나 65세 미만으로 노인성 질병으로 장기요양급여를 받는 자는 예외적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신청 자격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급여

급여는 서비스지원 종합조사 점수에 따라 1구간(465점 이상)부터 15구간(42점~75점 미만)까지 15단계로 구분됩니다.

1구간은 월 최대 798만원, 15구간은 월 1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더 많은 급여를 받게 됩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급여 구간별 지원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육

활동지원사가 되기 위해서는 보건복지부에서 지정한 교육기관에서 40시간의 표준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합니다.

교육과정은 장애의 이해, 인권과 서비스 윤리, 의사소통 기법, 개인별 지원계획 등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으로 구성됩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활동지원사 교육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실습

활동지원사 교육과정에는 8시간의 현장실습이 포함되어 있어 실제 서비스 현장에서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실습은 활동지원기관이나 장애인 거주시설에서 진행되며, 숙련된 활동지원사의 지도하에 이루어집니다.

실습을 통해 이론교육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현장에 적용해보고, 장애인과의 올바른 소통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실습 완료 후에는 실습 확인서를 발급받아야 하며, 이는 활동지원사 자격 취득의 필수 요건입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실습 기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

활동지원사 자격증은 40시간의 표준교육과정과 8시간의 현장실습을 모두 완료한 후 취득할 수 있습니다.

활동지원사 자격은 만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취득할 수 있으며, 별도의 학력 제한은 없습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자격증 취득 과정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청서류

기본 제출 서류로는 사회보장급여(사회서비스이용권) 신청서, 바우처카드 발급 신청서, 건강보험증 사본, 본인 명의 통장사본이 필요합니다.

장애유형에 따라 추가 서류가 필요할 수 있으며, 지체·뇌병변·시각장애인은 장애유형별 소견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추가서류 목록까지 전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종류

신체활동지원 서비스로는 목욕, 세면, 식사 보조, 실내이동 도움, 신체기능 유지 증진 등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가사활동지원으로는 청소, 주변정돈, 세탁, 취사, 생필품 구매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가사업무를 지원받습니다.

이외 사회활동, 방문간호 서비스와 주간활동서비스 있으며 자세한 종류와 내용은 아래 링크를 눌러 확인해 보세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