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 숨은 정부지원금 1분만에 조회해서 찾는 방법(정부24)
정부지원금(보조금)은 다양한 계층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데요.
하지만 해당 지원금을 찾아서 신청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그런데 토스 및 일부 사이트에서 내 조건에 맞는 숨은 정부지원금 찾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어떻게 조회 하는지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지금 신청하지 않으면 못받는 복지혜택
정부지원금이란?
국가 예산 등에서 지원받아 경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제도나 기존 사업에 대한 무상 또는 부분적인 지원제도를 말합니다.
다양한 계층을 위한 지원금 제도가 시기 별로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전에 여러 은행을 거치며 계좌를 사용해 왔거나, 1년 이상 사용하지 않은 계좌가 있다면 남는 잔액을 조회해주는 휴면계좌 통합조회 서비스를 이용해 보세요.
올 초에 방영된 뉴스에 따르면 통장 속 잠들어 있는 돈이 약 2.2조나 된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숨은 정부지원금이란?
국가에서 제공하는 정부 지원금은 많은데, 사람들이 지원금을 모르고 지나쳐버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토스에서는 신청인의 조건의 적합한 복지제도를 찾아주는 서비스를 마련했는데요.
토스 어플만 있으면 손쉽게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토스와 정부24 홈페이지에서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토스 숨은 정부원금 찾기
- 토스 앱을 열어, 오른쪽 상단 三을 눌러줍니다.
- 검색창에 “정부지원금”을 검색해 줍니다.
- “숨은 정부지원금 찾기”를 클릭하고, 하단의 “내 지원금 확인하기”를 누릅니다.
- 살고 있는 지역을 해주시고 다음으로 이동합니다.
- 가구 구성원, 한달 소득, 자녀 수, 자녀 나이, 학력, 직업유무를 선택해 줍니다.
- 마지막에서는 해당되는 보기(임신·출산, 장애인, 다문화 및 한부모 가정, 조부모와 손자녀 가정, 보훈 대상자, 환자, 북한 이탈주민)중 해당되는 것을 선택하여 결과보기를 누르면 됩니다.
- 조건에 적합한 지원금들이 나오며, 각 항목을 눌러 세부조건을 확인하면 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숨은 정부지원금을 바로 찾을 수 있습니다.
보조금(정부)24 찾기
토스 외에도 정부 24 홈페이지에서도 내 상황에 맞는 보조금(지원금)을 찾을 수 있는데요.
아래 정부24 홈페이지를 통해서 두가지 방법으로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비회원은 나의 직업상태, 주소, 생년월일, 성별, 소득금액 등을 입력하면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고, 로그인해서 회원자격으로 보면 신청인에게 ‘딱’ 맞는 혜택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토스보다는 더 세부적인 조건으로 조회가 되므로, 아래 정부24 홈페이지에서 바로 조회해 보시기 바랍니다.
각 지원금에 나오는 명칭
각각 사이트에서 지원금 및 보조금을 조회해보셨다면, 국가에서 지원하는 제도를 많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셨을텐데요.
각 세부 조건에 나오는 단어를 이해하기 어려워, QnA를 이용하는 분도 많습니다.
해당 단어들이 어떤 의미로 쓰이는지 등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청년
결혼 여부의 관계없이, 만 19세에서 만 34세에 해당하는 청년을 이르는 말입니다.
청년계좌와 같은 지원사업에 보면 군복무를 한 청년은 39세까지도 가능하다는 조건이 있으니, 세세한 조건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요.
세대주
세대의 대표자로 주민등록등본을 떼보면, ‘세대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세대원
주민등록등본상에 나와있는 구성원인데, 세대주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원을 말합니다.
세대
주민등록등본상 등록된 세대주와 세대원 전부를 일컫는 말입니다.
무주택
단순히 본인만 집이 없는 것을 뜻 하는 것이 아니라, 주민등록상 등록된 모든 세대가 소유하고 있는 집이 없어야만 무주택에 해당합니다.
1:1 매칭
매칭은 청년저축계좌에서 많이 나오는 단어인데요.
예를 들어 매월 20만원씩 입금하면, 만기일시 입금한 금액만큼 정부에서 지원해서 돌려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준 중위 소득
국민 소득 중 중간 값을 기반으로 정부가 보정한 값으로 기초생활수급자 등을 선정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기초 생활 생계급여는 월 소득 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30% 이하인 경우, 월 소득 인정액과 기준 준위 소득의 차이만큼 지원됩니다.
아래 표를 통해 기준 준위소득 범위를 확인해 보세요.